728x90

폐렴증상 3

감기와 폐렴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폐렴이 위험한 결정적 이유)

겨울이면 찾아오는 대표적인 불청객이 ‘감기와 폐렴’입니다. 이 두 가지 질환은 비슷한 점이 매우 많아서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까지 합세해서 겨울철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공포가 커지고 있습니다. 감기와 폐렴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폐렴은 어떤 병이고, 왜 생기나요? 폐렴은 폐에 미생물이 침범해 생기는 염증으로 감염 후 보통 수일에서 일주일 이내에 발생합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이 가장 흔하며 드물게 진균(곰팡이)이나 기생충에 의한 폐렴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구강이나 비인두에 정착하여 집락을 이룬 병원균이 기도를 통해 폐에 침투하게 되어 발생하며, 결핵처럼 공기 중에 떠다니는 균이 호흡과 함께 폐로 침투하기도 합니다. 폐렴에 걸리면 어떤 증상을 보이나..

육아 건강상식 2023.12.19

감기와 비슷한 증상의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우리 아이는 괜찮은가?

장기간 코로나19 유행으로 면역력이 약해져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에서 감기와 증상이 비슷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이 어린이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의심 증상이 있으면 등원이나 등교를 하지 말라고 권고했습니다. 영유아 및 학령기 이전 아동을 대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정확한 정보를 위하여 원인과 증상, 예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및 호흡기 감염병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3.12.08 - [육아 건강상식] - 마이코플라스마(폐렴균) 감염증 및 호흡기 감염병에 대한 바른 이해 마이코플라스마(폐렴균) 감염증 및 호흡기 감염병에 대한 바른 이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에서 11월 이후 영유아·학령기 중심..

육아 건강상식 2023.12.08

마이코플라스마(폐렴균) 감염증 및 호흡기 감염병에 대한 바른 이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에서 11월 이후 영유아·학령기 중심으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이 최근 한달새 약 1.6배 증가하였습니다. 현재 중국발 폐렴으로도 기사와 뉴스 등으로 접하고 있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에 대해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최근 11월 1주 173명, 11월 2주 226명, 11월 3주 232명, 11월 4주 270명으로 점차 확산되고 되고 있으며 1-12세 소아 발생 비율이 9월 기준 84.5%에서 10월은 80.9% ,11월은 80.7%으로 나왔습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의 경우 이미 치료법이 잘 알려져 있어 질병 자체에 대해 지나친 공포를 가질 필요가 없다는 평가를 하였습니다. 또한, 중국에서 유입된 신종감염병이 아니고, 오래전부터 발생해왔던 감염..

육아 건강상식 2023.12.08
728x90